소화불량의 원인
1. 소화 불량이란?
먹은 것은 위장 운동이나 위산, 소화 효소 등에 의해 분해되어 흡수되기 쉬운 형태가 됩니다. 이 과정을 소화라고 합니다. 소화 불량은 위장의 소화 기능이 저하되어 먹은 것의 소화가 불완전한 상태를 말합니다. 팽만감이나 가슴앓이, 더부룩함, 메스꺼움, 식욕 부진, 설사 등 다양한 증상도 나타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화 불량의 원인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소화 불량의 원인이 되는 질환
위에서는 강력한 소화액인 위악과 연동 운동(위장 수축 운동)으로 소화를 촉진합니다. 따라서 위액의 분비나 위의 전동 운동이 저하되면 소화 불량을 일으킵니다. 또한, 위가 정상적인 위치보다 내려가는 위하수는 무증상일 수 있지만, 위벽의 근육 긴장이 저하되어 연동운동이 감소하는 위무력증을 동반하는 경우 소화 불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위암 등 다양한 원인으로 소화 불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1 위하수 및 위무력증
위가 정상적인 위치보다 아래로 처진 상태를 위하수라고 합니다. 이는 마른 체형이며 복근이 적은 사람에게서 자주 나타납니다. 자각 증상이 없다면 위하수 자체는 질병이 아니지만, 너무 처지게 되면 위의 연동 운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위와 장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를 위무력증이라 하며, 소화 불량으로 인한 식욕 부진, 팽만감, 속 쓰림, 메스꺼움, 가슴 답답함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2 흡수불량증후군
소화와 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영양소 부족이 생기는 질환으로 만성 설사, 체중 감소, 전신 부종, 비혈, 구내염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방이 많이 포함된 지방변(뜨는 것이 특징)이 배출됩니다.
2.3. 기능성 소화불량
소화불량을 일으킬 만한 기질적, 전신적, 대사적 질환이 없음에도 상복부 중앙(명치) 부위에 속 쓰림, 통증, 식후 팽만감, 조기 포만감 등의 증상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2.4 역류성 식도염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위산에 의한 염증을 일으켜 속 쓰림이나 더부룩함, 소화불량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이는 "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이라고도 하며, 과식, 고지방 식사, 척추 변형(구부정한 자세) 등으로 인해 하부식도괄약근이 이완되는 것이 원인입니다. 내시경 검사를 통해 점막 손상의 유무를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지만, 내시경 없이 증상으로 판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5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성 위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위 점막에 감염되어 위염을 유발하는 세균입니다. 감염은 평생 지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위축성 위염, 위·십이지장 궤양 등의 다양한 상부 소화관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감염으로 인해 위산 분비 능력이 영향을 받으며, 위축성 위염이 진행되면 위산 분비가 감소하여 음식물 소화가 어려워지고, 속 쓰림이나 식욕 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6 위·십이지장궤양
궤양이라는 것은 소화관 벽의 조직이 결손 된 상태를 말합니다. 위와 십이지장의 소화관 벽 조직 결손을 통틀어 위·십이지장 궤양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원인은 파일로리균에 의한 것이며 감염으로 인해 만성적인 염증이 지속되며 점막이 위축되고 궤양이 형성됩니다. 명치 주변의 통증이나 복부 팽만감, 오심, 구토, 속 쓰림, 식욕부진, 소화불량 등의 증상 외에 소화관 출혈을 동반하기도 하며 토혈이나 흑색 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7 위암
위암은 위벽 안쪽을 덮고 있는 점막의 세포가 어떠한 원인으로 암세포가 되어 늘어남으로써 발생합니다. 초기 단계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으며, 상당히 진행이 되어도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 위통, 불쾌감, 속 쓰림, 메스꺼움, 식욕부진 등입니다. 위암의 99%는 파일로리균 감염에 의한 것이며 흡연, 염분 섭취 과다 등을 위험 요인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